IT/OS(16)
-
Solaris hostname 변경
기존 Solaris ( Solaris 10 이전) /etc/inet/hosts /etc/nodename /etc/hostname.DeviceName(Ex.ce0) /etc/net/ticlts/hosts /etc/net/ticots/hosts /etc/net/ticotsord/hosts Solaris 10 /etc/inet/hosts /etc/inet/ipnodes /etc/hostname.DeviceName(Ex.ce0) /etc/nodename 위 파일들을 변경하고 확인을 위해서 Reboot, Dynamic하게 변경 또는 현재 hostname 확인 시에는 # hostname New_Hostname 하면 된다.
2008.02.01 -
Solaris CD-ROM Mount 하기
cdrom을 driver에 삽입하면 Volume Management Daemon인 "vold" process에 의해 cdrom이 자동 mount 되지만, vold process가 운영 중이 아니거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cdrom이 자동 mount 되지 않으면 아래의 명령으로 mount 한다. 1. vold daemon이 운영중인 경우 "volcheck" 명령을 실행하여 vold daemon이 cdrom을 mount 하도록 한 후 df 명령 으로 cdrom이 mount 되었는지 확인한다. % /bin/volcheck % df -k 2. volcheck 명령으로 mount가 되지 않는경우 아래와 같이 "mount" 명령을 사용한다. # /etc/mount -F hsfs -o ro /dev/dsk/c0t6d0..
2007.01.23 -
Opatch 사용하기
Opatch : 다재다능한 패치 관리 유틸리티 남궁혁 | 한국오라클 오라클에서는 패치 관리 유틸리티 Opatch를 통해 새로운 패치 관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는 Opatch의 구성 및 설치 방법과 각 명령어의 사용법을 소개한다. 아울러, 기존에 발생했던 몇 가지 문제들도 소개함으로써, 독자의 Opatch 사용에 도움을 줄 것이다. 오라클에서는 특정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한 패치셋(patchset)이나 차기 릴리즈를 발표하기 전에 임시 패치(interim patch, 혹은‘one-off’patch) 를 제공하여 해당 문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 임시 패치 는 특정 버전의 컴포넌트에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racle Database 8.1.7.3에 대해 생성된 임시 패..
2006.12.28 -
유용한 Windows 단축키
이미 알고 있는 쉬운 것들도 있고... 들어는 봤는뎅 잘 사용하지 않는 것들도 있네... 그래도 알고 있음 유용한 것들... * '시작' 메뉴 부르기 : 윈도우키 자체 * 바탕화면 보기 : 윈도우키+D * 윈도 탐색기 부르기 : 윈도우키+E * 파일 검색 창 부르기 : 윈도우키+F * 컴퓨터 검색 창 부르기 : 윈도우키+Ctrl+F * 바탕화면 보기 : 윈도우키+M * 실행 프로그램 부르기 : 윈도우키+R * 작업표시줄의 작업창 이동 : 윈도우키+Tab * 윈도우 도움말 : 윈도우키+F1 * 시스템 등록정보 : +Pause/break ▶ Alt키 활용하기 * 뒤로 혹은 앞으로 가기 : Alt+왼쪽/오른쪽 화살표 키 * 시스템 메뉴 호출 : Alt+Space * 등록 정보 보기 : Alt+Enter * 프..
2006.12.28 -
cron job
1. cron 명령은 지정된 날짜와 시간에 일정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 며 각 사용자별로 /var/spool/cron/crontabs 디렉토리에 사용자 ID와 같은 이름의 crontab 화일을 만들어 cron job을 지정할 수 있다. cron 명령은 시스템이 부팅되면서 /etc/rc2.d/S75cron 스크립트에 의해서 daemon 형태로 수행된다. 2. 각 사용자 별로 crontab 화일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crontab -e" 명령을 실행하면 된다. % crontab -e 위와 같이 명령을 실행하면 "vi" editor mode로 들어가 crontab 화일을 수정할수 있게 되는데, 만약 "vi" mode로 들어가지 않으면 "EDITOR" 환경변수를 vi로 변경 후 cron..
2006.12.28 -
TCP Wrapper
1. TCP Wrapper 란? 인터넷 상에서의 접속은 대부분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TCP 접속에 대해 Wrap를 씌워 서버로 접근하는 불필요한(?) 접속에 대해 적절한 제한을 가해주는 것이 바로 TCP Wrapper입니다. TCP Wrapper는 그 특성상 서비스(데몬)별 및 IP별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접속 거부”와 “접속 허용”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① 접속 거부: /etc/hosts.deny TCP Wrapper에서 접속 거부를 설정하는 곳입니다. 여기에 설정된 주소들은 모두 접속이 거부됩니다. ② 접속 허용: /etc/hosts.allow TCP Wrapper에서 접속 허용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여기에 설정된 주소들은 모두 ..
2006.12.28